대구광역시 - 소형폐가전, 이젠 무료로 편하게 버리세요 !
▸ 409개 공동주택 대상, 대구시 소형폐가전 분리수거함 922개 설치
환경부, 대구시, 한국전자제품자원순환공제조합과 함께 시행하는 이 사업은
9월3일부터 10월11일까지 소형폐가전 분리수거함 922개를순차적으로 설치한다.
현재 가정에서 사용하는 티브이, 세탁기와 같은 대형폐가전제품은 폐가전제품 무상방문수거 서비스를 이용해 쉽게 배출 할 수 있다.
하지만 선풍기, 전기밥솥 등 소형 폐가전제품은 5개 이상일 경우에만 무상방문 서비스 이용이가능하고, 그 이하일 경우에는 유료로(1천원/개) 버리거나 가까운 주민센터를 직접 방문해야 한다.
이로 인해 주민들은 소형폐가전제품을 배출하는 데 불편을 겪고 있고, 재활용 가능 자원은 그대로 버려지는 경우가 많았다.
설치가 완료되면 해당 공동주택의 소형폐가전 배출이 편리하게되어수거량이증가해 자원재활용률 또한 향상될 것으로 기대한다.추후주민참여도 및 배출체계 전반을 모니터링 해 확대 여부를 결정할 계획이다.
지형재 대구시 자원순환과장은 “이번 사업의 효과를 최대한 높이기 위해시민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협조를 부탁드린다”라고 말했다.
참고:1. 소형폐가전제품 분리수거함 설치 사업
2. 폐가전제품 분리 배출 방법
참고1 |
|
소형폐가전제품 분리수거함 설치 사업 |
□사업개요
❍ (기 간) ’19. 9. 3. ∼ 10. 11.
❍ (내 용) 공동주택 409개소 대상 분리수거함 922개 설치
❍ (주 관) 한국전자제품자원순환공제조합
구 분 |
소 계 |
중 구 |
동 구 |
서 구 |
남 구 |
북 구 |
수성구 |
달서구 |
달성군 |
공동주택 |
409 |
6 |
79 |
4 |
3 |
57 |
104 |
97 |
59 |
수거함 |
922 |
13 |
176 |
14 |
5 |
127 |
190 |
254 |
143 |
세대수 |
258,597 |
4,384 |
46,138 |
4,895 |
1,316 |
37,234 |
50,628 |
76,127 |
37,875 |
※ 구․군 수요조사 후, 배출량, 효율성 등을 고려하여 조합에서 선정
□수거함 모양 및 크기
구 분 |
설 치 함 |
|
사 진 |
|
|
규 격 |
900mm(W)× 900mm(D) × 1,400mm(H) 정도 |
|
재 질 |
STEEL 및 도장 |
|
특 징 |
- 고정 가능한 바퀴설치(이동식) - 빗물고임 방지 지붕식 - 지붕 개폐를 위한 유압기 설치 - 분실방지 원형 시건장치(열쇠)부착 |
- 내부 마대연결고리 부착(6EA) - 수거함별 지정번호 부여 - 배출 대상 품목, 수거자 연락처 기재 - 분실, 도난 방지 경고 안내문 |
참고2 |
|
폐가전제품 분리 배출 방법 |
▶「전기‧전자제품 및 자동차의 자원순환에 관한 법률 시행령」별표 3 - 재활용의무 대상 제품
분 류 |
품 명 |
단일 수거품목 |
냉장고(가정용, 업소용, 냉동고, 김치냉장고 등) |
세탁기(일반세탁기, 드럼세탁기 등) |
|
에어컨(실내기, 실외기, 일체형 등) |
|
TV(CRT, LCD, LED, 프로젝션) |
|
전기오븐렌지, 공기청정기, 식기세척기, 식기건조기, 복사기, 자동판매기, 런닝머신, 냉온정수기, 전자렌지, 전축(구형 오디오세트), 데스크탑 PC(본체+모니터) |
|
5개 이상 수거 품목 (※ 5개 미만일 경우, 주민센터 혹은 공동주택에 설치된 분리수거함 이용) |
PC본체, 모니터, 노트북, 오디오(본체, 컴포넌트), 프린터, 팩시밀리, 음식물처리기, 전기비데, 전기히터, 전기밥솥, 연수기, 가습기, 다리미, 선풍기, 믹서기, 청소기, VTR(DVD포함), 휴대폰 |
|
< ※ 폐가전제품 무상방문 수거 서비스 > |
|
|
|
|
【사업시행】 ‘13. 4. 1.부터 시행(대구 전지역) 【사업주체】 환경부, 대구시, 한국전자제품자원순환공제조합(환경부 인가 법인) ※ 환경부(제도 지원), 대구시(중간집하장 부지 제공 및 홍보), 조합(수거, 운반 및 처리) 【수거체계】 예약*→ 방문수거 → 중간집하장 → 처리(영천리싸이클링센터) * 신청 : 콜센터(1599-0903), 인터넷(www.15990903.or.kr) |
